마황의 주요 성분인 에페드린이 식욕을 억제하는 주요 기전은 교감신경계 및 중추신경계 자극효과에 기반합니다.
📌 교감신경 자극 : 에페드린은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여 노르에피네프린(norepinephrine)과 도파민(dopamine) 등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합니다. 이로 인해 중추신경계가 각성되고 뇌의 식욕중추(특히 시상하부)에 작용해 식욕을 감소시킵니다.
📌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활성화 : 에페드린은 α, β 아드레날린성 수용체를 모두 활성화합니다. 이 과정에서 식욕억제(anorectic) 효과가 동반되며, 특히 노르에피네프린의 증가가 중요합니다. 이로 인해 포만감이 쉽게 유발되고, 식욕이 감소합니다.
📌 대사량 및 에너지 소비 증가 : 에페드린은 열생산 및 대사량을 증가시키며, 지방 분해를 촉진해 체지방 감소와 함께 식욕감소에 기여합니다.
📌 중추신경계 직접 작용 : 에페드린 및 유사 알칼로이드는 BBB(blood-brain barrier)를 통과할 수 있는 친지성 물질로, 중추신경계에 직접 작용하여 식욕억제·각성·불안 등 다양한 신경계 효과를 유발합니다.
📌 효과의 특징 : 임상적으로 에페드린 복용 시 식사량 감소, 공복감 감소, 포만감 촉진 등이 보고되어 있습니다. 다만 반복 복용 시에는 내성이 생겨 효과가 점차 감소할 수 있습니다.
즉, 에페드린의 식욕억제 효과는 교감신경 및 중추신경을 자극해 식욕중추의 활동을 억제하고,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하여 포만감을 증진시키는 데서 비롯됩니다.
에페드린이 식욕 억제에 관여하는 주요 신경전달물질은 노르에피네프린(norepinephrine)과 도파민(dopamine)입니다.
📌 노르에피네프린 : 에페드린은 뇌의 교감신경 및 중추신경계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분비를 증가시키고, 이로 인해 아드레날린성 수용체가 자극되어 식욕이 억제됩니다. 중추에서 알파 아드레날린성 수용체 자극을 통해 식욕 중추에 작용해 식욕 감소를 유도합니다.
📌 도파민 : 에페드린은 또한 흑색질(substantia nigra)에서 도파민의 방출도 촉진합니다. 도파민은 보상과 동기, 섭식 행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, 이 역시 식욕 억제 효과에 일부 기여합니다.
정리하면, 에페드린의 식욕억제 효과는 주로 노르에피네프린과 도파민의 중추 내 작용과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시상하부 등 뇌 식욕조절 중추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에 의해 나타납니다.
.*+’⭐️🌙🌼’+*. 에페드린 내성 발생 이유 .*+’⭐️🌙🌼’+*.
에페드린의 효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, 즉 내성(tolerance)이 생기는 현상에는 다음과 같은 생물학적 기전이 관여합니다.
1.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의 감수성 저하
✓ 에페드린은 노르에피네프린(NE),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촉진하면서 아드레날린성 수용체(α, β receptor)를 반복적으로 자극합니다.
✓ 꾸준히 자극을 받으면, 뇌와 말초의 아드레날린성 수용체가 점차 비활성화(downregulation) 또는 탈감작(desensitization) 됩니다.
✓ 그 결과, 같은 양의 에페드린에 신경계가 점점 둔감해져 식욕 억제 효과가 감소합니다.
2. 신경전달물질 고갈
✓ 반복 사용 시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저장량이 줄어드는데, 이를 탈감작(desensitization) 또는 탈진(depletion)이라 합니다.
✓ 신경전달물질 분비량 자체가 감소하면 동일 용량의 에페드린으로도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습니다.
3. 중추신경계의 적응
✓ 뇌는 외부 자극(에페드린 등)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, 항상성 유지를 위해 자체적으로 조절기 전을 작동시킵니다.
✓ 결과적으로 식욕중추의 민감도가 떨어지고,, 에페드린의 식욕억제 효과가 점차 줄어듭니다.
4. 유전적 / 개인 차
✓ 에페드린에 대한 내성 및 민감도는 유전적 요인이나 개인의 신체 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.
✓ 일부 사람들은 대사 속도, 수용체밀도, 신경전달물질 예비량 등에서 차이를 보여 더 빨리 내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
이러한 기전 때문에 에페드린을 장기 복용할 경우 식욕억제 효과가 감소하며, 더 높은 용량을 원하게 되는 내성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이는 약물 의존성이나 부작용 위험을 높이므로, 전문가들은 장기 복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.
발산역 1번 출구 앞
전화 : 0507-1430-1090
카톡 ID: lifemaru10
평일 매일 야간 진료: 10시~ 20시 30분
점심시간: 13시 30~ 14시 30분
토요일/공휴일 진료: 10시~14시 30분
'건강 토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마곡 한의원] EFT(Emitional Freedom Technique, 감정자유기법)란? (3) | 2025.07.23 |
---|---|
(강서구 마곡 린다이어트)당류 섭취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방법 (3) | 2025.07.22 |
[마곡 한의원 의학 상식'자두씨를 삼켰을 때, 안전한가요? (0) | 2025.07.19 |
보험한약 연교패독산 목감기 인후통 (3) | 2025.07.16 |
[린다이어트 비대면 한의원]지중해식 식단(Mediterranean Diet)이란? (3) | 2025.07.08 |